삼성전자 사람이 궁금하지 않습니까 삼성전자(三星電子). 말 그대로 별이 세 개인 전자회사입니다. 사실 회사 이름으로 보면 조금 촌스럽지 않은가요. 과거 기업명을 보면 기업의 흥망이 별에 있다고 생각해서인지 별 성(星)자가 들어가는 기업이 많았습니다. 별이 다섯 개인 오성전자도 있고 일곱인 칠성을 기업명으로 삼은 기업도 여럿입니다. 하지만 요즘 별의 숫자, 그것도 최첨단 전자회사가 한자어를 기업명으로 삼은 곳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미끈한 영자로 바꿔버렸으니까요. 사실 요즘 같은 글로벌 시대에 그것도 세계에서 몇째 손가락 안에 드는 전자회사가 ‘별 셋’의 의미를 가진 한자어 회사명을 사용하는 것이 조금은 어울리지 않아 보입니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초일류 기업이라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별로 없.. 더보기 아버지와 아들, 그리고 정보기관 최근 한나라당 이종구 의원이 종합부동산세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종부세 부과 대상을 공시가격 6억 원에서 9억 원으로, 세대별 합산을 개인별 합산으로 바꾸자는 것입니다. 이는 사실상 종부세의 알맹이를 빼버리는 행위입니다. 이 의원은 “장기적으로는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지역구가 강남이니 이해는 갑니다만 종부세가 ‘불필요한 (투기 목적의) 부동산을 많이 가진 사람에게 더 많은 세금을 걷는다’는 취지인 점에서 이 의원의 모습은 좀 그렇습디다. 이 의원을 보니 그의 부친이 생각납니다. 아시다시피 그의 부친은 과거 야당 수석부총재를 지낸 7선의 이중재 전 의원입니다. 해방 직후인 1946년 조선정판사 위폐사건이 있었습니다. 미군정 시절 공산당 기관지를 찍던 인쇄소에서 위조지폐를 만들었다는 이유로.. 더보기 국가인권위원회의 굴욕 기자는 2001년 11월 국가인권위원회가 태동할 즈음 인권위원회에 대해 기사를 쓴 적이 있습니다. 당시 인권위원회는 장·차관급 4명, 직원 439명의 대규모 직제안을 만들었습니다. 게다가 시민·사회단체 활동 경력 4년 이상이면 5급 공무원에, 그것도 국가공무원 시험에서 반드시 치러야 하는 필기 혹은 실기시험 없이 서류 전형과 면접만으로 선발하겠다고 했습니다. 김대중 정부 들어 수만 명의 공무원을 줄이는 분위기에서 당시의 대규모 정부 조직 신설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습니다. 게다가 수십 대 일의 경쟁을 뚫고 9급 공무원에 임용돼도 5급이 되려면 20~30년이 걸리는 상황에서 시민단체 경력 4년 만에 5급, 14년 이상이면 3급 공무원에 임용하겠다는 것은 당시로서는 엄청난 특혜이자 당찬 요구였습니다. 그런데.. 더보기 이명박 대통령이 잊고 있는 것 촛불의 기세에 눌려 노심초사하던 이명박 대통령이 요즘 신이 나 보입니다. 하기야 촛불집회도 잠잠해졌겠다, 그 눈엣가시 같은 PD 수첩도 사과하고 제작진이 모두 바뀌었겠다, 임명권자를 몰라 보고 아픈 곳을 쿡쿡 찌르던 공영방송 사장도 잡아 가두었겠다……. 이 대통령은 요즘 이런 생각을 하고 무릎을 치며 좋아할지 모릅니다. “거 봐라. 역시 물대포와 경찰 특공대가 효과가 있어. 촛불집회에 미온적으로 대처한 서울경찰청장을 진작 바꿨어야 했는데, 공영방송과 관영방송이 무슨 차이가 있다고 그래. 감사원과 검찰, KBS이사회도 잘했지.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인터넷 댓글 실명제를 도입해 네티즌의 ‘주둥이’를 막아버린 방송통신위원회도 수훈갑이야.” 요즘 이 대통령의 행동을 보면 자신감이 묻어납니다. 국무회의에서 농담도.. 더보기 과거와 다른 CEO의 세계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만든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요. 그 중에서 많은 사람이 지목하는 요인은 다름 아닌 ‘경제를 살릴 수 있는 사람일 것’이라는 점입니다. 당시 이 후보는 맨몸 하나로 건설회사에 입사해 30대 나이에 CEO를 지내며 셀러리맨의 신화, 경제부흥의 견인차라는 이미지를 가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많은 유권자는 “도덕적 문제가 있지만 국민경제 하나는 살릴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서 그에게 몰표를 줬을 겁니다. 그런데 경제의 거울이라고 할 수 있는 주가는 계속 추락하고 있습니다. 개미들은 이미 ‘악’ 소리도 지르지 못하고 깡통을 찼습니다.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코스닥 지수도 500선이 붕괴했습니다. 코스닥 지수 500선이 붕괴한 것은 3년 만입니다. 물론 세계.. 더보기 세상의 모든 것은 변합니다 지난번 종합부동산세 무력화 법안을 제출한 한나라당 이종구 의원의 부친 이중재 전 의원은 해방 직후 대학생일 때 남로당 조선정판사 위폐 사건은 조작이라며 재판정에서 몸을 날린 ‘기개의 청년’이었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역시 한나라당 박근혜 의원의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도 6·25 직전까지 군인 신분으로 남로당 활동을 했다는 것은 이제 비밀도 아닙니다. 사실 부모의 이념이 자식에게 연결되지도, 또 될 수도 없는 것이 인간사입니다. 하물며 같은 사람도 시간이 지나면 변하게 마련입니다. 그렇습니다. 사람은 변합니다. 낙선했어도 여전히 실세로 통하며 대운하를 만들겠다는 집념을 보이는 이재오 전 의원. 이 전 의원은 재야에서 맴돌다 1992년 사면·복권돼 민중당 사무총장으로 제도권 정치에 처음 발을 들여놓았습.. 더보기 weekly경향으로 거듭납니다 1992년 5월 ‘인간시대의 사람들 이야기’라는 창간사로 태어난 뉴스메이커가 이번 호부터 제호를 weekly경향으로 바꿉니다. 우리가 제호를 바꾸는 솔직한 이유는 최근 경향신문에 대한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에서 독립언론이 추구하는 가치를 일체화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weekly경향은 더 용기 있는 권력 비판, 더 정교한 시사 분석과 심층 취재, 더 참신한 기획취재 등을 통해 독자가 원하는 정보의 정수를 충실히 전달할 것입니다. 특히 우리는 16년 전 창간사에서 “21세기를 호흡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실릴 것”이라고 독자에게 약속했습니다. 그래서 본지는 사람 이야기, 인물 정보에 강한 잡지라는 특장을 지금까지 지켜온 것입니다. 제호는 weekly경향으로 바뀌지만 인물 정보에 강한 시사주간지, .. 더보기 심은경씨를 아시나요 '한국을 움직이는 10대 인물 혹은 단체’를 꼽는 기사는 몇몇 언론에서 종종 하는 기획입니다. 보통 정치 분야 하면 대통령, 경제 분야는 삼성그룹, 사회 분야는 유력 시민단체, 언론 분야는 KBS 등을 꼽습니다. 물론 이를 꼽는 이들은 대부분 우리 사회에서 오피니언 리더로서 정치·경제·사회의 흐름을 잘 이해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필자는 이런 조사를 접할 때마다 한 가지 의문이 들곤 했습니다. 왜 주한미대사는 빠져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물론 미국이 우리나라의 명줄을 쥔 1950~1960년대는 아니지만 미국은 여전히 한국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주한미대사는 미국 정부를 대표해 한국에 와 있는 외교 공관장의 하나지만 그 존재의 의미와 역할, 임무 등은 상상을 초월합니.. 더보기 정부 정책은 연필로 쓸 수 없어요 이명박 대통령과 현대건설에서 함께 근무했던 사람에게서 1960~70년대 건설업계 분위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재미있는 대목은 공무원에게 뇌물을 주는 방법입니다. 당시 건설회사들은 수주할 때, 특히 설계를 변경할 때 공무원에게 뇌물을 주는 일이 다반사였다고 합니다. 그 시기 이명박 사장은 결재를 꼭 연필로 했다는 겁니다. 물론 정식 공문도 없고요. 연필로 ‘건설부 모 국장, 1천’에 사장 사인이 있는 메모지를 경리과에 가져가면 커다란 금고에서 1000만 원짜리 돈가방 하나를 주는 방식이라는 겁니다. 물론 뇌물이 불법이니까 정식 서류도 아닐 테고 또 유사 시 문제가 될 우려도 있으니 증거를 없애기 위해 지우기 쉽게 연필로 결재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정부 정책은 조금, 아니 많이 다릅니다. 국가 정책은 입안.. 더보기 누가 더 생명력이 있을까요 일을 하려면 돈이 듭니다. 두 사람이 만나 연애하는 데도 최소한 버스값과 커피값은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보통사람이 하지 않는 국민계몽운동이나 새생활실천운동같이 거창한 일을 하려면 훨씬 돈이 많이 들겠지요.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돈을 마련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는 법이니까요. 과거 정부는 시민·사회단체에 돈을 그냥 준 것이 아니라 정치적으로 이용한 것이 사실입니다. 박정희 정권 시절 새마을운동이나 노태우 정권 시절 바르게살기운동이 그것입니다. 이들 단체는 지금도 정부로부터 막대한 지원을 받으며 때마다 관제 데모에 앞장서고 정부 정책을 지지하는 친정부단체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대중 정부 시절 제2건국위원회라는 조직을 만들어 비슷한 시도를 하다 결국 좌절되기도 했습니다. 이때부터 시작.. 더보기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3 다음